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감사합니다 제 질문에 관심가져 주시고 정말 성의있게 답변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많은

제 질문에 관심가져 주시고 정말 성의있게 답변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됐어요 솔직히 말하면 전에는 정치 나라일에 관심1도 없어서 투표도 안했던 우리나라 국민이었습니다관심도 갖고 처음으로 궁금해서 쓴글이기도 합니다제가 거시적으로 글을 올려서 뭔가 작은 오역 오해가 있는듯 합니다부채가 아니라 트럼프가 미국에 투자를 해달라 달러로3500억불을 이게 국가보유 채권이 아니라 국가보유달러에 80푸로 오인됀것 같습니다 추가로 1500불? 그리고 관세는 기존 15프로에서 25프로로 올리겠다 미국측에서 주장하고 있는것 같구요 일본도 똑같이 주장했는데 덜컥 싸인을 한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보유중이구요 그리고 균형은 나라와에 균형이죠 지금은 동맹도 적도 뒤바뀔수 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 미국이 여러동맹국에게 뒤통수를 치는것 처럼요 물론 미국자기나라가 당장 힘들어지니까 할수없는 선택을 한것 같습니다하지만 제가 보기에는 과하다 싶을정도로 동맹국에게 강압을 하는것 같아요 제생각에는 미국도 중국도 러시아도 압도적으로 강해지면 안돼겠다 하는 생각에서 균형을 말한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다시 글 남겨주셔서 제가 더 감사드립니다. 질문자님처럼 정치·경제 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하고 자기 생각을 정리해보는 태도 자체가 정말 의미 있는 출발이라고 생각해요. 처음이라고 하셨지만 글에서 이미 깊이 있는 시각이 느껴집니다.
말씀하신 내용을 정리해보면,
• 미국이 동맹국에게 투자(달러 유치)를 요구한다는 점
• 관세 인상 (15% → 25%) 압박
• 일본은 이에 동의했지만 한국은 아직 버티고 있다는 점
• 미국이 동맹국들에게도 강하게 압박을 넣고 있어 신뢰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
• 결국 중요한 건 어느 한 나라가 압도적으로 강해지지 않도록 균형을 지키는 것
이렇게 요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몇 가지 사실 관계 정리
“국채 80%” 표현 → 오해 정정
말씀대로 국가부채 80%가 아니라 미국이 동맹국에게 자국 달러 자산 매입·투자를 요구하는 이슈와 연결된 얘기 같아요. 실제로 미국은 최근 안보·경제를 연계해 동맹국에게 투자 압박을 강화하는 모습이 있습니다.
관세 문제
미국은 중국뿐만 아니라 동맹국 제품에도 관세를 높이는 방안을 협상 카드로 쓰고 있습니다.
일본은 일부 합의했고, 한국은 아직 논의 단계이지만 산업계에 미칠 충격이 커서 쉽게 결정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동맹국 압박 현상
말씀처럼, 최근 미국의 정책은 “적대국만이 아니라 동맹국에도 부담을 전가”하는 방향이 보입니다.
이 때문에 한국, 유럽, 일본 등도 미국과 협력하면서 동시에 자국 이익을 지키려는 균형 전략을 고민 중이에요.
질문자님의 ‘균형’에 대한 생각
저도 크게 공감합니다.
특정 국가가 너무 압도적으로 강해지면 국제질서가 흔들리고 작은 나라들은 더 힘들어집니다.
그래서 한국 같은 중견국은 한쪽에 올인하기보다, 균형 속에서 국익을 챙기는 외교 전략이 필요합니다.
지금처럼 동맹도 수시로 변하는 시대에는 “유연성 있는 균형 감각”이 오히려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정리하면: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과도한 미국의 압박”과 “국제적 균형의 중요성”은 실제 외교·경제 현장에서 가장 뜨거운 주제 중 하나입니다.
앞으로도 지금처럼 작은 의문을 스스로 정리하고 질문을 던지다 보면, 훨씬 더 깊은 시각을 갖게 되실 거예요.
제가 작성한 사이트에서 일부 내용 가져왔습니다.
질문자님에게 도움될 이어지는 내용은 아래에 남겨놓겠습니다.
[관련 정보 보러가기]: https://m.site.naver.com/1Qf3W image 일상다반사
마음, 돈, 일상을 함께 풀어가는 생활 다이어리
m.site.naver.com
https://m.site.naver.com/1Rd4z image AI 최신 지원금 - 정부지원금 찾기
나이와 지역을 선택하여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금을 쉽게 찾아보세요. 최신 정부지원금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합니다.
m.site.naver.com
​질문자님의 상황이 잘 해결되시길 바랍니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