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금형에 관심있는데 4가지만 드려요 1.점점 자동화가 되가고 있는데 이쪽으로 나가도 비젼이 있을까요? 기술직으로 인정
1.점점 자동화가 되가고 있는데 이쪽으로 나가도 비젼이 있을까요? 기술직으로 인정 받을수 있을까 걱정입니다.2.프레스 금형회사에서 일하면 힘든 점은 무엇일까요?3.어떤 자격증을 취득하면 좋을까요?4.금형 설계쪽도 관심이 많은데 종류가 무엇인가요?
1. 자동화 시대에도 프레스 금형 분야의 비전
자동화가 진행돼도 금형 설계·제작 기술은 여전히 필요합니다. 자동화 장비가 스스로 금형을 설계하거나 고장난 금형을 복구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특히 자동차·전자·가전·항공 등 거의 모든 제조업의 부품 생산은 금형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부품 생산이 존재하는 한 금형 관련 인력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앞으로는 단순 생산직보다 설계·프로세스 최적화·자동화 라인 연동 기술을 갖춘 인력이 높은 대우를 받게 됩니다.
기술직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단순 작업 경험보다 설계·품질 관리·공정 개선 능력을 같이 갖추는 게 중요합니다.
- 육체적 피로 : 프레스 금형 제작은 무게가 나가는 부품을 다루는 경우가 많고, 가공·조립 과정에서 체력 소모가 크게 느낄 것입니다.
- 안전 리스크 : 프레스 기계는 잘못 다루면 큰 사고가 날 수 있어, 안전 규정을 엄격히 지켜야 합니다.
- 정밀도 스트레스 : 0.01mm 단위의 오차를 맞춰야 하는 경우가 많아, 집중력이 많이 소모됩니다.
- 납기 압박 : 주문자 일정에 맞추다 보면 잔업이나 주말 근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소음·환경: 기계 소음과 금속 가공 냄새, 절삭유 환경에 적응해야 합니다.
기계설계산업기사 / 기사: CAD·CAM 기반 설계 능력을 검증받을 수 있습니다.
금형기능사(프레스금형, 플라스틱금형): 금형 전문직으로서 기초 기술력 증명.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2D/3D 도면 작업 능력 인증.
용접기능사 / TIG 용접: 금형 제작과 보수에 활용 가능.
CNC 선반/밀링 관련 자격: 자동화 기계 가공 능력 확보.
3D 프린팅 활용능력 자격: 금형 시제품 제작 트렌드 대응.
금형 설계는 제품 형태와 생산 방식에 따라 구분됩니다.
자동화 시대에도 금형 설계·제작 기술자는 필요하며, 단순 가공에서 설계·자동화 연계로 역량을 넓히면 더 높은 기술직으로 인정받습니다.
현장의 어려움은 있지만, 숙련도와 자격증을 갖추면 안정성과 전문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