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자꾸 엄마 탓을 하게 되는데 어떻게 고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우선 제 소개를 하자면 저는 20살이고 첫째딸입니다.저한테 일어난 일,
안녕하세요 우선 제 소개를 하자면 저는 20살이고 첫째딸입니다.저한테 일어난 일, 제가 선택했던 일들이 잘못 되거나 후회를 할 때면 엄마탓을 하게 돼요.. 예를 들어, 제가 재수학원을 다니다가 중간에 나오게 되었는데 나오고 나서 공부를 제대로 하지 않아서 후회를 했고 지금도 후회가 되는데요그건 제가 성격이 예민하고 공부하는 게 힘들어서 중간에 포기한 건데그걸 엄마가 나한테 자주 전화하고 나한테 힘들지 않냐고 자꾸 물어서 내가 나약해진 거다 라는 등엄마는 그저 내가 멀리 떨어져서 생활하는 게 걱정되고 안쓰러워서 자주 전화하신 거 일텐데그걸 저는 알면서도 말로는 자꾸 엄마 때문이다. 라고 말하게 돼요....이런 식으로 제 인생에서 잘못된 선택이었거나 제 인생이 꼬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면그걸 자꾸 엄마탓으로 돌림으로써 스스로의 자책하고 원망하는 죄책감에서 벗어나려고 해요근데 저는 엄마한테 이런 막말을 할 때 저희 엄마는 그냥 아무말 없이 듣고 있거든요그래서 저는 엄마가 이런 말을 들어도 아무런 타격을 안 받는다고 생각하고 그냥 죄책감 없이 했던 건데저희 엄마께서 오늘 저한테 "OO아, 너는 너 인생에서 잘못된 선택을 했거나 후회되는 순간들은 다 엄마 때문이라고 생각하니까 그냥 엄마가 죽을게." 라고 하셨는데.그 말을 듣고 머리가 띵 하면서 그냥 제가 생각 없이 그냥 싸질렀던 말들이 모두 후회되기 시작하더라고요......한 번 뱉은 말은 다시 주워담을 수 없다는 걸 왜 이제야 알았을까요.....그래서 엄마께 죄송하다.. 사실은 내가 내 탓 하면 자존감이 낮아지는데 그게 싫어서 그랬다 라고 솔직하게 말해야 하는데 저는 그때 조차도 그냥 죄송하다 라고 밖에 말하지 못했어요...저는 끝까지 제 자존심만 생각하는 이기적인 새끼였던거죠....이 세상에 나를 진정으로 생각해주고 사랑해주고 지지해주는 사람은 저희 부모님 뿐인데저는 등신같이 그것도 모르고 가장 소중한 사람한테 가장 상처를 주고 가장 막말을 싸질르면서 부모 가슴에 대못을 박아온거죠....스스로가 너무 밉고 이렇게 부모님한테 상흔을 입히면서 속 썩일 말만 할 바에는그냥 내가 사라지는 게 가장 효도하는 것 같고 그냥 죽고 싶은데그냥 죽으면 너무 무책임한 거고 부모님이 너무 슬퍼하실 것 같아서지금이라도 부모님께 좋은 말만 해드리고 싶은데그냥 무의식적으로 부모 탓을 하게 되는 제 자신이 너무 싫어요어떻게 해야... 엄마 탓을 안하고 엄마를 존경할 수 있을까요.....사실 제 내면에는 엄마를 너무 사랑하고 제 목숨보다 저희 엄마 목숨이 더 소중하거든요....근데 이걸 표현하기 너무 부끄럽고 말로 안해도 엄마가 아실거라는 생각에그냥 겉으로는 틱틱 거리는 건데제가 너무 안일하게 생각했나봐요......그리고 엄마만은 제가 이렇게 나쁘게 말해도 제 진심을 알아주고 또 상처 안받고굳건하실거라고 생각했었어요....저희 엄마도 제가 첫째고 항상 딸로만 살아오셨지 엄마는 처음인데,,,,,그것도 모르고 저는 저희 엄마가 굳건한 성벽이라고 생각하고 그냥 내뱉었던거죠,,,,,제 내면에는 이런 생각이 아직도 잔재한데,,, 이걸 어떻게 뜯어고칠 수 있을까요.....쓰레기 같은 저에게 강하게 엄격하게 따끔하게 충고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어머니께 상처를 드린 일로 괴로워하는 마음이 느껴집니다. 스스로를 자책하는 마음도 이해가 되지만, 지금부터라도 변화하려는 의지가 있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1. 인정하고 사과하기:
진심으로 어머니께 사과하고, 탓했던 행동에 대해 후회하고 있다는 것을 표현하세요.
말로 표현하기 어렵다면 편지를 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엄마, 정말 죄송해요. 제가 엄마를 힘들게 한 말들을 후회해요. 앞으로는 엄마 마음을 더 헤아리고 좋은 딸이 되도록 노력할게요.'
2. 원인 분석 및 책임 인정:
왜 자꾸 엄마 탓을 하게 되는지 객관적으로 분석해 보세요. 불안감, 낮은 자존감, 회피 심리 등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자신의 선택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앞으로는 스스로 결정하고 결과를 감당하려는 노력을 하세요.
3. 긍정적인 표현 연습:
평소에 엄마에게 감사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연습을 하세요.
칭찬, 격려, 안부 인사 등 긍정적인 표현을 자주 사용하고, 작은 행동으로라도 마음을 전하세요.
'엄마, 오늘 밥 정말 맛있었어요.', '엄마, 덕분에 힘이 나요.', '엄마, 항상 고마워요.'
4. 전문가의 도움:
혼자 극복하기 어렵다면 심리 상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전문가의 지도를 통해 감정 조절 능력을 키우고, 건강한 관계를 맺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5. 꾸준한 노력:
변화는 시간이 걸리는 과정입니다. 조급해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작은 변화에도 스스로를 칭찬하고 격려하며, 긍정적인 마음을 유지하세요.
6. 자기 객관화 연습: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연습을 하세요.
일기 쓰기, 명상 등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7. 부모님께 배우기:
부모님의 삶의 지혜와 경험을 배우고 존경하는 마음을 가지세요.
부모님의 말씀에 귀 기울이고, 조언을 구하며, 함께 시간을 보내는 노력을 하세요.
8. 긍정적인 관점:
과거의 실수를 통해 배우고 성장하는 계기로 삼으세요.
긍정적인 관점을 유지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품으세요.
9. 자기 용서:
자신을 너무 자책하지 마세요. 누구나 실수를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을 용서하고, 앞으로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세요.
10. 죽음은 해결책이 아님:
힘든 감정에 압도될 때는 죽음을 생각하지 마세요. 죽음은 모든 것을 끝내는 것이 아니라, 남은 사람들에게 큰 상처를 남기는 무책임한 행동입니다.
지금부터라도 늦지 않았습니다. 진심으로 노력하면 어머니와의 관계를 회복하고, 더욱 성숙한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힘내세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