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생기부 진로 변경 안녕하세요 일반 인문계 진학중인 고2 여학생 입니다제가 고1 때 생기부를
안녕하세요 일반 인문계 진학중인 고2 여학생 입니다제가 고1 때 생기부를 바리스타 중심으로 썼고 진로가 바뀌어2학년 1학기 때 심리학 중심으로 여러가지 활동과 생기부를 썼어요 근데 또 진로가 보건행정 쪽으로 바꼈어요1학기 후반에 발표를 했었는데 약간의 보건행정과 연관지어서 발표 했었어요 2학기 진짜 초반에 심리학이랑 보건행정이랑 연관지어서 채우고 2학기 중후반부터는 보건행정학 중심으로 채울 예정인데 대학 가는데 많은 영향이 미칠까요?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겠어요 도와주세요ㅠㅠㅠㅠ
안녕하세요 :)
지금 고민하고 있는 내용, 정말 많은 학생들이 겪는 일이에요.
고1~고2 사이에 진로가 바뀌는 건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이고,
그만큼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해봤다는 의미이기도 해요.
지금처럼 “어떻게 해야 좋을지 고민하고 정리하려는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하니까, 너무 불안해하지 않아도 괜찮아요ㅎㅎ
✅ 우선 질문에 대한 핵심 답부터 말씀드릴게요.
대학은 생기부를 ‘과정’으로 봅니다.
고1 때부터 딱 한 가지 진로만 밀고 가는 경우는 오히려 드물어요.
중요한 건 “어떻게 진로를 탐색했고, 그 과정에서 무엇을 배웠는지”예요.
심리학과 보건행정을 연결짓는 ‘전환 스토리’만 잘 만들면 괜찮아요.
<진로 전환 스토리 예시 (참고용)>
"심리학에 관심을 갖고 학습하던 중,
사람들이 정신적·신체적 건강을 어떻게 관리받는지를 고민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의료 행정 및 제도, 건강정책, 병원 시스템에 관심이 생겼다.
이를 계기로 보건행정학을 알아보게 되었고,
현재는 심리학에서 배운 사람에 대한 이해를
보다 실제적인 보건정책이나 행정서비스에 연결해보고 싶다는 목표가 생겼다."
이런 흐름을 독서, 발표, 탐구 활동에 반영하면 설득력 충분합니다.
✅ 앞으로 이렇게 정리해 보세요
1. 심리학 → 보건행정 연결 포인트 만들기
✔️ 환자의 심리와 병원 서비스
✔️ 정신건강과 지역 보건 행정의 연계
✔️ 의료 복지 정책과 국민 심리 변화
2. 2학기 생기부는 보건행정에 집중
관련 도서 독서활동
관련 뉴스·이슈 탐구 (예: 건강보험, 병원 운영, 공공의료제도 등)
탐구보고서, 발표 주제
예: "고령화 사회에서 보건행정의 역할", "병원 내 감염관리 정책 연구"
3. 생활기록부 내 흐름 정리하기
교과 세특, 자율활동, 동아리 등에서
보건행정 관련 관심 → 구체적인 탐구 → 실천 의지
이 3단계 흐름으로 정리되게 만드는 것이 핵심이에요.
✅ 마무리 조언
진로가 바뀌었다는 건
“나 자신에 대해 더 많이 고민하고, 탐색해왔다는 증거”입니다.
그걸 ‘일관성이 없었다’고 보는 게 아니라,
‘성장과정이 보인다’고 느끼게 만들어주는 것이 대학 입시에서 가장 중요해요.
그리고 지금처럼
생기부의 흐름과 방향을 미리 점검하고 정리하려는 자세
그것 자체가 이미 굉장히 잘하고 있는 거예요.
힘내세요. 응원할게요!
스마트개미 학습코치 드림 image 진로 연계가 핵심! 고2 생기부 세특 강화 키워드 적용법
진로 연계가 핵심!고2 생기부 세특 강화 키워드 적용법 고2는 생기부에서 진로 흐름이 본격적으로 보이는 시기예요.고1 때는 흥미 정도만 드러나도 괜찮았다면,이제는 “진로 탐색을 어떻게 확장했는가”를 보여주는 게 중요해요.특히 세특에서는 교과 내용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진로와 어떻게 연결했고 어떤 사고 흐름으로 확장했는지이 세 가지 축이 잘 보이면 아주 강력한 인상을 줄 수 있어요.그리고 요즘 입학사정관들은학생이 단순히 ‘잘한 것’보다‘질문했던 것’, ‘고민했던 것’, ‘확장하려 한 흔적’을 더 중요하게 봐요.즉, 완성도보다...
toyjjang999.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