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수시 학교장 추천형(교과) 전형 2026학년도 연세대학교 수시 학교장 추천형(교과) 전형에 관한 공식 안내문을 보면Z점수와
2026학년도 연세대학교 수시 학교장 추천형(교과) 전형에 관한 공식 안내문을 보면Z점수와 등급점수를 5:5로 반영한다고 되어있는데, 합산 하는 방식은 어떤 계산을 사용하나요?예를 들어Z점수는 97.** 으로 전년도 50컷 보다 0.29 낮은데등급 점수는 1.3*으로 전년도 50컷 보다 0.01 높으면 ( 등급이 낮으면 ) Z점수 낮은 불리함을 등급점수 약간 좋은걸로 커버 가능할까요??
✅ 연세대 학교장추천형(교과) 전형 기본 구조
계열 및 과목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산출된 정규화 점수
수능 최저 없음, 면접 없음 (단, 자소서 제출 가능성 있음)
※ Z점수는 본인의 교과 성적이 해당 고교 내에서 얼마나 우수한지를 표준화해서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공식 합산 방식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가중 평균을 씁니다:
최종 점수 = (Z점수 × 0.5) + (등급점수 × 0.5)
즉, 단순 평균 형태로 합산되며, 대학 측은 두 점수를 동일한 비중으로 판단합니다.
※ 반영점수 자체는 내부 변환 점수 체계로 이루어지며, 실제 등급을 그대로 쓰는 것은 아닙니다.
Z점수: 97.xx → 전년도 50%컷보다 0.29 낮음
등급점수: 1.3x → 전년도 50%컷보다 0.01 좋음(낮음)
Z점수가 0.29만큼 낮고, 등급점수는 0.01만큼 나음
→ 일반적으로 Z점수는 소수점 1~2단위 차이로 당락이 갈릴 정도로 민감합니다.
따라서 단순히 등급점수가 약간 더 좋다고 해서 Z점수의 불리함을 완전히 상쇄하기는 어렵습니다.
연세대 교과전형은 전국 상위 1~1.5% 이내의 성적 분포이므로, Z점수 97이면 약간 아래권
내신이 빡센 고교일수록 Z점수는 유리하지만, 등급 낮은 경우엔 손해 상쇄 불가
Z점수 아슬아슬할 땐 자소서/세특을 통해 서류에서 경쟁력 보완 필요
연세대 교과형 외에 면접형, 일반전형, 논술전형 등 다양한 카드를 함께 준비하는 것 권장
Z점수 0.29 차이는 꽤 큰 불리함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등급점수에서 0.01 우위는 거의 영향이 없을 정도로 미미합니다.
즉, 현재 상태는 합격 가능성은 낮은 편이지만 완전히 배제할 수준은 아니며, 자소서/세특 등 다른 정성요소나 고교의 위상, 지원 학과 경쟁률 등에 따라 뒤집을 여지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