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 졸업학점 초과 수강 졸업학점이 130점인데 4학년 2학기 시작 전 118점이라 12점만 채우면 되는
졸업학점이 130점인데 4학년 2학기 시작 전 118점이라 12점만 채우면 되는 상황입니다.3학년때 D+나온게 한과목있는데 이번학기에 과목 하나 초과로 듣고 성적 잘 나오면 이전에 받았던 D+를 없애고 이 과목으로 대체가 가능한가요?
졸업학점 대체 이수 및 성적 향상: 재수강 제도 활용
졸업 학점이 130점인데 현재 118점을 이수하셨고 4학년 2학기 시작 전이라 12점만 더 채우면 되는 상황이시군요. 3학년 때 D+를 받은 과목이 있으시다면, 해당 과목을 재수강하는 방식으로 성적을 올리고 학점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과목 하나를 초과로 듣는다고 D+를 받은 과목이 자동으로 사라지고 대체되지는 않습니다.
성적 향상 및 학점 대체를 위한 '재수강' 제도
대학에서 성적을 향상시키거나 특정 과목의 학점을 대체하고 싶을 때 활용하는 것이 바로 재수강 제도입니다.
이미 수강하여 학점을 취득했거나 (F 포함) 성적을 받은 과목을 다시 수강하는 것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대학은 특정 학점(예: C+ 이하, C 이하 등)을 받은 과목에 대해 재수강을 허용합니다. D+는 재수강 대상에 해당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재수강을 통해 새롭게 취득한 성적(이번 학기에 잘 받는 성적)이 기존의 D+ 성적을 대체하게 됩니다.
학교마다 규정은 다르지만, 보통 기존의 D+ 성적은 삭제되거나(성적표에서 아예 사라짐), 혹은 성적표에는 남지만 평점 계산에서는 제외됩니다. 중요한 것은 재수강한 과목의 새 성적만 학점과 평점 계산에 반영된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다른 과목을 추가로 듣는다고 D+가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D+를 받았던 그 과목을 다시 수강신청해서 잘 들어야 성적표에서 D+의 악영향을 지울 수 있습니다.
재수강을 하더라도 해당 과목의 학점 자체는 변함이 없습니다. 예를 들어, 3학점짜리 과목을 D+ 받고 재수강해서 A+를 받았다고 해도, 이수 학점은 여전히 3학점인 것이죠. 이미 이수한 학점이므로 새로 추가되는 학점은 아닙니다.
하지만 졸업 평점(GPA)을 높이는 데는 매우 효과적입니다.
4학년 2학기에 12학점만 채우면 되는 상황이시므로, 만약 재수강을 고려하신다면:
12학점 + @ (재수강 과목 학점) 신청: 12학점은 졸업에 필요한 최소 학점이고, D+를 받은 과목을 재수강하여 성적을 올리고 싶다면, 그 과목의 학점(예: 3학점)을 더해서 총 15학점 등을 신청하게 되실 수 있습니다.
주의: 재수강 과목의 학점은 추가 학점으로 계산되지 않고 이미 이수한 학점에서 성적만 변경되는 것이므로, 졸업에 필요한 12학점은 다른 신규 과목으로 채워야 합니다.
대학마다 재수강 정책, 학점 인정 기준, D+ 등급 처리 방침이 다릅니다. 따라서 가장 정확한 정보는 소속 학과 사무실이나 교무처(학사지원팀)에 문의하시는 것입니다.
재수강 시 기존 D+ 성적의 처리 방식 (삭제, 평점 제외 등)
재수강으로 얻은 학점이 졸업에 필요한 학점으로 인정되는 방식
졸업 학점 12학점을 채우는 데 재수강 과목이 어떻게 포함되는지 (보통 재수강은 '학점 추가'가 아닌 '성적 대체'이므로, 별도의 신규 학점을 이수해야 함)
정확한 확인을 통해 성공적으로 졸업 학점을 채우시고 좋은 성적으로 마무리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