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f.seekr.kr
닫기
i

ADHD치료 문의 드립니다. 08년생 남학생. 부모입니다.초4때 증상 발견하여 약물치료 시작했었습니다.현재는 중단한 상태입니다.중단한 이유는

ADHD치료 문의 드립니다. 08년생 남학생. 부모입니다.초4때 증상 발견하여 약물치료 시작했었습니다.현재는 중단한 상태입니다.중단한 이유는

08년생 남학생. 부모입니다.초4때 증상 발견하여 약물치료 시작했었습니다.현재는 중단한 상태입니다.중단한 이유는 학교와 집에서의 생활이 엉망이라 약을 복용할 시간이 없어서 입니다.규칙을 지키지 못합니다. 아주 심합니다.또한 친구들과 어울리는데 생활이 맞춰져있어서 잦은 외박, 음주, 흡연을 합니다. 핸드폰 중독도 심합니다. 훈육은 되지도 않고, 학교선생님 말씀도 먹히질 않네요.큰범죄를 저지르거나 하진 않지만, 걱정이 너무 큽니다.시간이 지나도 호전 되질 않습니다.성인 ADHD로 이어져 사회생활이 힘들것 같습니다.가정이 무너져 갑니다.도와주세요.

i

안녕하세요, 최면심리상담사 지안입니다.

선생님께서 남겨주신 글을 읽으며, 얼마나 걱정이 크실지 깊이 공감이 됩니다. 아이의 생활이 통제되지 않고, 반복적으로 규칙을 어기는 모습을 지켜보시며 부모로서 무력감과 불안, 그리고 절망감까지 느끼고 계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특히 외박, 음주, 흡연, 핸드폰 중독 등으로 인한 가정 내 갈등이 커져가는 상황에서 마음이 무너지는 듯한 심정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우선, 선생님께서 아이의 어려움을 혼자 감당하려 하지 않으시고 이렇게 도움을 요청해주신 점, 정말 중요한 첫걸음을 내디디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아이를 사랑하시기에 지금 이 순간에도 포기하지 않으시고 어떻게든 방법을 찾고자 하시는 그 마음이 느껴졌습니다.

선생님의 아드님께 나타나는 행동은 ADHD의 증상뿐 아니라 감정적 결핍과 무의식 속 신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럴 경우, 약물만으로는 어려움을 다루기에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아이의 내면에 자리 잡은 핵심 감정과 신념을 함께 다루는 심리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특히 “규칙을 못 지킨다”는 부분과 “훈육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단순한 주의력 문제를 넘어 감정 조절의 어려움, 자존감의 붕괴, 외적 자극으로 내면 공허함을 채우려는 시도가 반복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내면 깊숙한 곳의 분노, 두려움, 외로움, 애정 결핍감 등을 다루는 심리 상담이 매우 중요합니다.

EFT 감정자유기법은 한방과 양방 모두에서 감정을 다루는 데 도움을 주는 심리적 기법 중 하나로, 정서적 고통과 내면의 신념을 다루는 데 유용한 접근 방식입니다. 다만, 현재 아드님의 상태는 행동 통제가 거의 되지 않는 상황이기 때문에, 선생님께서 EFT를 통해 아이로 인해 생긴 정서적 고통을 다루는 것부터 시작하시는 것이 적절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통제되지 않아 무력하고 절망스럽다”는 감정을 EFT로 다루면, 선생님의 감정 에너지가 조금 더 단단해지고 이후 아이와의 상호작용에서 감정적 동요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아래 자료를 먼저 학습해보시고, EFT 기법을 익히신 후 적용해 보시길 권합니다.

‘EFT 감정자유기법 무료로 배우기 : https://naver.me/xY4LmKFd’

‘EFT 감정자유기법 시연 동영상 : https://youtu.be/wAL4HHqN4_c’

‘EFT 감정자유기법 두드리는 지점(그림) : http://naver.me/Gj6X4qmJ’

‘자기돌봄 방법 : https://blog.naver.com/mindful_jun/222896485804’

EFT 감정자유기법을 선생님의 감정에 적용하는 예시를 간단히 안내드리겠습니다.

증상 확인 및 측정

예: “아이가 통제를 벗어나고, 말도 듣지 않아 무력하고 절망스럽다”

→ 이 감정을 {0~10} 중 어느 정도로 강하게 느끼시나요?

수용확언

양쪽 손날을 7번 두드리며 아래 문장을 3번 반복합니다.

“비록 아이가 통제되지 않아 {9}만큼 무력하고 절망스럽지만, 이런 나를 마음속 깊이 이해하고 받아들입니다.”

연속 두드리기

정수리부터 손목 안쪽까지 타점을 두드리며

“아이에게 아무 말도 통하지 않아 너무 무기력하고, 이대로라면 가정이 무너질 것 같아 두려워.”와 같이 느껴지는 감정을 표현합니다.

뇌조율 과정

손등점을 두드리며

눈을 감았다 떴다

왼쪽 아래 → 오른쪽 아래 보기

눈동자를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 돌리기

“생일 축하합니다” 흥얼거리기 → 1~5 숫자 세기 → 다시 “생일 축하합니다”

연속 두드리기 반복

깊은 쉼호흡

쇄골 아래를 두드리며 3번 깊은 호흡

고통지수 재측정

처음의 {9}에서 몇 점으로 줄었는지 확인하고 감정의 변화를 관찰합니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선생님의 감정이 가라앉고 정리가 되었다면, 이후에 아이를 위한 무의식 탐색이나 상담을 계획해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상황은 자가적인 대처만으로 감당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무의식 속 핵심 감정과 신념을 다룰 수 있는 심층 심리상담이 병행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ADHD가 지속된다면 전문 의료기관에서 다시 한 번 평가를 받는 것도 고려해보시길 권합니다.

선생님께서 겪고 계신 어려움은 아래와 같은 심리적 주제와도 깊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유년시절 가정 불화

애정 결핍과 인정 욕구

평가에 대한 두려움

낮은 자존감

감정 조절의 어려움 (분노, 불안, 공허감, 무력감 등)

중독적 행동 (SNS, 흡연, 음주 등)

이러한 어려움은 무의식 상담과 자기돌봄 훈련을 통해 점차 다루어갈 수 있습니다.

선생님께서 느끼시는 무력함은 당연한 감정입니다. 하지만 그 감정에 압도되지 않도록, 지금 이 순간부터 선생님의 마음을 먼저 돌보는 것이 시작이 되어야 합니다. 상담을 받으시는 것이 가장 좋지만, 우선은 자가 치유 방법부터 실천해 보시고, 이후 혼자서 감당이 어렵다고 느끼실 경우 전문가 상담을 꼭 받아보시기를 권합니다.

본 센터에서는 의료 행위를 하지 않습니다. 제공되는 상담 또는 정보는 환자의 치료가 아닌 일반적인 개인의 스트레스 관리, 자기계발, 심리적 안정 등의 교육 및 심리적 지원 목적으로 활용되며 의료적 진단이나 치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해당 정보의 활용은 개인의 선택과 책임 하에 이루어집니다. 의학적 치료가 필요하거나 망상, 환각, 기분 장애 등으로 심각한 정신적 어려움이 있는 경우 의료기관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AI답변